본문 바로가기
tourism/건강+안전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자녀 미성년자 확인방법

by 토라노코 2024. 6. 6.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5월 20일부터 병원에서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전에는 주민등록번호로 본인확인이 가능했는데요, 이제는 거의 모든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대신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으면 주민증 없이 신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자녀와 미성년자 본인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기존의 보험증을 모바일 QR코드, 바코드로 바꾼 건데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 본인인증을 위해 만든 시스템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건강보험증 본인확인을 강화하면서 병원에 갈 때 신분증을 가지고 가야 하게 되었습니다. 본인확인이 가능한 수단은 건강보험증이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등인데요, 요즘엔 지갑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에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건장보험증을 발급받으면 간단하게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 발급방법을 알아볼까요?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구글플에이나 앱스토어에서 다운도르를 받은 뒤 설치하면 됩니다. 바쁘신 분들은 아래 'Google Play'나 'App Store'에 바로 가셔서  바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Google Play 모바일 건강보험증 다운로드

 

App Stroe 모바일 건강보험증 다운로드

 

'Google Play'나 'App Store'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해도 됩니다. 검색을 하셨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설치합니다. 이후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개인입니까?'를 선택한 뒤에 약관에 동의를 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다음으로 본인인증을 해야 하는데요, 휴대폰 인증이나 금융인증서 인증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본인인증이 끝나면 앞으로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이후 생체 정보 입력은 그냥 넘어가고 되는 절차입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절차

 

그래도 모르시겠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유튜브에 설치 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아래 화면을 클릭하시면 모바일 건강보험증 설치방법을 간단하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2. 모바일 건강보험증 제시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이 끝나셨나요? 이제 병원에 가시면 먼저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제시해야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본인확인이 가능한수단은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그리고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접수할 때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에서 '자격・본인확인 QR'을 선택한 뒤에 'QR제출'을 클릭하고 접수처에 보여주면 본인확인이 완료됩니다.

 

 

3. 미성년자 자녀 확인 방법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려면 신분증이나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제시해야 하는데요, 19세 미만이나 응급환자 등은 주민등록번호만으로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본인확인 예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일 병원에서 6개월 이내 본인확인을 받은 재진인 경우, 다른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뢰 혹은 이송된 경우, 의사 처방전을 가지고 약을 조제하는 경우, 현저하게 거동이 불편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인정한 경우, 응급환자나 자기요양, 임산부 등입니다.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예외사례 - 동일 병원에서 6개월 이내 본인확인을 받은 재진인 경우
- 다른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뢰 혹은 이송된 경우
- 의사 처방전을 가지고 약을 조제하는 경우
- 현저하게 거동이 불편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인정한 경우
- 응급환자나 자기요양, 임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