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urism/건강+안전

일본 감염병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 유행 증상 예방법

by 토라노코 2024. 5. 2.

얼마전에 STSS, 연쇄구군 독성쇼크 증후군이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이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 여행, 특히 야마가타현와 홋카이도, 돗토리현을 방문하려고 준비하는 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본 감염 정보

 

 

1.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 감염상황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에 감염되면 발열과 인후통, 혀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연쇄감염증의 하나인데요, 최근 일본 전역에서 감염이 확산되고 있어요.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4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1주일간 전국 3,000개 소아과 병원에서 보고된 환자는 1만 2,784명이었습니다.

병원당 평균 4.08명으로 전주보다 0.76명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NHK의 보도에 따르면, 야마가타현이 병원당 환자가 9.64명으로 경계수준인 8명을 넘어섰습니다.

야마가타현은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4월 22일부터 4월 28일까지 병원당 평균 감염환자는 11.54명으로 전주보다 1.9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야마가타현에 있는 28개 소아과에서 보고된 감염환자는 323명으로 전주보다 53명이 늘어났습니다.

야마가타현은 마스크 착용과 환기, 손씻기 등을 철저하게 하도록 당부했습니다.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 감염상황(출처: NHK)

 

홋카이도가 7.52명이었으며, 돗토리현이 6.89명이었습니다.

이외에 니가타현 6.55명,

이바라키현 6.28명,

후쿠오카현 6.02명,

치바현 5.76명이었습니다.

도쿄는 3.54명, 오사카는 3.53명, 오키나와는 3.47명이었습니다.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는 지난해 가을 이후 예년 같은 시기와 비교해 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는 코로나19가 유행할 때에 용혈균 감염이 억제되었는데, 면역이 약해진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 증상 및 치료법

병원균은 A군 용혈성 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인데요,

감염된 환자의 기침이나 재치기 등에 포함된 비말에 포함된 세균을 통한 비말감염과 세균이 묻은 손으로 입이나 코를 만지는 경우 접촉감염도 있습니다.

 

모든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3세 미만과 성인은 감염된 사례가 적습니다.

주로 겨울에 시작돼 봄부터 초여름까지 감염이 확산됩니다.

 

 

용혈성 연쇄구균의 잠복기간은 2~5일이며, 갑자기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납니다.

이후 전신 권태감, 인두통, 인두 발진, 혀에 딸기 모양의 발진이 발생하며, 구토가 뒤따르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열은 3~5일이 지나면 내려가고, 증상은 1주일 이내에 완화됩니다.

 

드물게 중증화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감염 이후 중증화가 진행되면 목과 혀, 온몸이 빨갛게 변하는 성홍열이 될 수 있습니다.

합병증은 폐렴, 수막염, 패혈증, 류머티즘열, 급성 사구체신염 등이 있습니다.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은 진료법과 치료법이 개발되었습니다.

발열과 인두통이 있으면 즉시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신속 진단키트로 진단하며 정확도는 80% 이상이라고 합니다.

 

 

치료는 주로 항균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신장염 등 합병증을 막기 위해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3. A군 용혈성 연쇄구균 인두염 예방법

예방법은 간단한데요, 손씻기가 중요합니다.

기침을 할 때는 옆사람을 배려해 가리고 해야 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마스크 착용이 필요합니다.

4. 참고문헌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A群溶血性レンサ球菌咽頭炎(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国立感染症研究所, A群溶血性レンサ球菌咽頭炎とは

NHK, 感染症データと医療・健康情報:A群溶血性レンサ球菌咽頭炎